티스토리 뷰

반응형

 

Skitterphoto / 픽사베이

 

월급의 몇 퍼센트%를 저축하면 좋을까?

우리가 적금 등으로 목돈을 모으고자 할 때, 많이 하는 질문이다. 우리는 얼마를 저금을 해야 할까? 답변이 참 쉬우면서도 어려운 질문이다. 자신의 상황을 잘 파악하고 있다면 생각보다 쉽게 결론이 나는 편이고, 자신의 한달 예산이나 카드결제비 등을 전혀 가늠하지 못하고 있다면 위의 질문은 잊고, 일단 그 부분부터 차근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보통 20대 초중반, 사회초년생인 경우에는 월급의 70% 정도 저축을 하라한다.  나이가 들면 들수록 원하지 않아도 그 비율을 줄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한다. 30대  40대로 가면서 결혼하고 아이가 생기면서 자연스레 육아, 교육비가 증가하기 때문에 저축할 돈은 자연스레 없어진다고 한다. 당연한 이야기다. 그렇기 때문에 젊을 때 한 푼이라도 더 모으라고 하지만, 그것이 과연 정답일까? 

 

모든 것은 Case by Case로 각자의 기준에 맞춰야 한다. 사람마다 상황과 씀씀이, 돈 모으는 목적이 다른데 무조건 '월급의 몇 %를 저금해라'는 사실상 목돈모으기를 포기로 이끄는 조언이 될 뿐이다. 결국 목표를 세우고 지키지 못하면 '난 재테크와 맞지 않은 사람이야'라는 식으로 자책하게 되어 재테크를 포기하게 된다. 

 

내 월급의 몇 %를 저축해야할까에 대한 답을 구하고자 한다면, 타인이 얼마를 모으고 있는 것에 대한 답을 찾기보다 일단 나의 한 달 수익과 지출내역을 살펴보자. 나의 총수익을 3개월이나 6개월 단위로 평균을 내보고, 나의 총지출 역시 마찬가지다. 3~6개월 정도의 기간에 정해서 정리해 보도록 하자. 그리고 그 지출도 매월 들어가야 하는 고정 비용과 나의 의지로 조절이 가능한 변동 지출(유동적인 지출)의 평균을 내어 본다. 

 

여기서 고정지출은 기본적으로 생활하는데 꼭 필요한 비용이기 때문에 줄일 수 없다. 월세, 출퇴근 교통비, 통신료 등을 이쪽에 넣을 수 있을 것이다. 식비는 고정비이긴 하나 일정 비용을 조절할 수 있는 측면이 있다고 본다. 따라서 몇 개월 식비를 평균내어 고정비로 넣되, 이는 평균 이상일 경우에는 금액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는 엥겔지수 등으로 파악해 보면 좋을 듯하다.  (엥겔지수=가계소득에서 식료품비의 비율) 

 

이렇게 전체 수익에서 고정비용을 빼고 남은 금액에서 저축할 금액과 내가 소비할 수 있는 변동 지출을 조절하면 된다. 변동 지출에는 소비, 문화 등의 다양한 비용이 있기에 자신이 제일 중요하게 생각하는 삶의 목표와 소비 지출에 대해서 고민해보고 해당 부분을 정한다. 미리 저축할 금액을 정하고 남는 돈에서 위의 변동 지출의 예산을 정하는 것을 목표로 삼되, 너무 타이트하게 자신을 옥죄면 결국 재테크도 요요가 온다. 

 

적금이고 저축이고 다 포기하고 소비에 올인하겠다는 시기가 온다. '다 먹고 살자고 하는 일인데..'라며 소비의 재미에 푹 빠지게 된다. 따라서 너무 과한 저축은 자신을 피폐하게 만든다. 그래서 자신이 오랫동안 지킬 수 있는 금액과 적당히 절약할 수 있는 변동 지출을 정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월급의 몇 % 저축? 모두 각자의 기준에 맞춰야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래도 가이드를 주자면, 20대는 70%, 30대는 60% 정도라 이야기할 수 있겠다. 그리고 이는 본가에서 생활하는 경우에는 좀 더 그 비율을 올리라고 권하고 싶다. 다이어트처럼 오랫동안 지킬 수 있는지 생각하고 실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중도포기라는 아픔을 겪게 된다. 물론 중도포기를 경험하면서 배우는 것도 나쁘지 않겠지만, 이왕이면 좀 더 실패 없이 시작할 수 있으면 좋겠다 싶다. 

 

 


 

+ 이글과 비슷한 주제의 관련 글들

(7/9 수정 : 구글 광고 정책 우려로 인해 불필요한 링크는 삭제합니다. 관련글들은 [경제 및 재테크] 게시판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8/4 재수정 : 해당 광고게재와 광고노출 등은 개인의 실수라기보다는 플랫폼 정책과 시스템에 의한 것으로 합리적인 추측이 되어 다시 링크를 살려두었습니다. 각 글은 해당 페이지에서 이동합니다. 함께 둘러보시고 참고하시어 목돈 많이 모으시길 바랍니다. 모두 부자되어요!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