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티스토리를 운영 10개월 만에 구글 애드센스 수익을 지급받게 되었다. 수익을 위해 티스토리 블로그를 시작한 사람들에게 실망스러운 내용이지만, 약간의 핑계를 해보자면 블로그 방문자도 많지 않고 지난번 글에서 공유했듯이 약간의 쉬는 기간도 있었기 때문에 오래 걸린 사람 축에 속하니 크게 개의치 않으면 좋겠다. 

 

이번 글에서는 필자가 [구글애드센스 수익계좌] 등록을 하기 위해 직접 경험한 내용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구글 애드센스 사용 초보자, 블로그 초보자들은 비슷한 궁금증을 가지고 있을테니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각자의 상황에 따라 최종 은행 선택은 다를 수 있으나 비슷한 조건을 가지고 고민할 테니 말이다. 

 

목차는 아래와 같이 가지고 갈까 한다. 필자가 하나씩 알아보며 생긴 궁금증을 해결해 나간 절차이기도 하다. (순차적으로 아래 글들을 작성하고 올릴 예정이라 초반에는 아래 글들의 링크가 생성되기까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7/6일 수정 : 글에 너무 많은 글은 구글의 광고 게재 제한의 원인일 수 있어 링크 제거합니다. 관련 글은 [티스토리 및 구글애드센스] 게시판에 있습니다.)

  1. 구글 애드센스 수익 어떻게 받나요?  (원화, 달러) 
  2. 외화 송금받는 절차와 수수료 체계
  3. 어느 은행의 계좌를 선택할까?  (외화통장, 주거래은행, 수수료 저렴한 은행 등)
  4. 구글 애드센스 수익 계좌 변경은 가능할까?
  5. 외화 통장(혹은 유트브 크리에이티브 통장) 개설하기 
  6. 구글 애드센스 지급 계좌 등록하는 방법
  7. 구글 애드센스 수익정산계좌 등록 전 체크사항 총정리 
  8. 구글 애드센스 정산 관련 정책 요약정리 

 

 

다들 구글 애드센스 수익 어떻게 받나요?

필자도 처음 [구글 애드센스 지급계좌]를 등록해 보는 것이기에 궁금한 점이 많았다. 많지는 않은 수익이지만 꾸준히 푼돈도 쌓이면 돈이 되기에, 가능한 수수료 등을 저렴하게 지출하여 야무지게 수익을 챙기고 싶었다. 그렇다면 수많은 유투버나 수익형 블로거들은 어떻게 하고 있을지 궁금해졌다. 

 

원화(원)로 받나요? 

궁금한 점은 우리가 흔히 쓰는 우리나라 계좌로도 수익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궁금증이었다. 검색해 보면 거의 언급되지 않아 처음에는 달러로만 지급이 가능한 줄 알았다. 그리고 필자 역시 원화로의 지급은 고려하지는 않았으나 가능은 하다. 하지만 일반 원화 통장으로 받으면 많은 수수료 빠져서 사용하는 사람은 많지 않은 듯 했다. 

광고 수익이 많지 않은 사람들의 경우에는 해당 수수료를 벌기 위해서 일주일정도 벌어들인 수익을 고스란히 수수료로 뺏겨야 하는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글 광고수익을 받는 사람들은 사실상 수수료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어떻게 벌은 광고수익인데?' 하는 생각이 직관적으로 든다. 

 

 

달러($)로 받나요? 

많은 수의 블로거들이 외화통장으로 지급을 받았다. 그 중 일부는 달러로 다시 미국 주식 등을 사용하거나 혹은 달러로 재테크를 하는 경우도 있었다. 많은 수의 사람들이 외화계좌를 선택한 이유는 달러로 지급을 받으면 원화로 바꾸는 환전으로 인한 수수료를 아낄 수 있어서 그런 것 같았다. 

하지만 문제는 어차피 원화로 바꿔서 사용을 하려면, 수수료 요율의 차이는 있지만 환전수수료는 발생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달러를 어떻게 사용할지 선택 옵션도 있고, 환전수수료 역시 직접 원화 계좌로 받는 것보다는 유리하기에 많은 수의 사람들이 외화통장을 개설하여 광고수익을 수령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외화통장 : 달러, 유로, 엔화 등의 일부 다른나라의 통화로 입금을 받을 수 있는 통장이다. 

 


 

1차원적인 궁금증일 수 있으나 꼭 필요한 내용이기도 했기에 구글 애드센스 수익 수령 관련한 내용에 처음으로 다뤄봤다. 외화계좌를 알아보다 보니 원화로 받을 수 있지만 수수료에 혜택을 준 통장도 만날 수 있었다. 이는 순차적으로 다룰 테니 이어서 올라오는 글들을 참고해 주면 좋겠다. 

 

그럼 어떤 수수료가 많이 발생하기에 사람들은 수수료를 절약하려 노력을 할까? 함께 이어서 살펴보도록 하자. 끝.

 

 

반응형
댓글